카흐라만마라스(Kahramanmaraş) 대지진 이후, RTK 디바이스를 장착한 PIX4Dcatch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피해를 평가했습니다.
2023년 2월 6일 발생한 대규모 카흐라만마라스 중심 지진 직후, 터키 앙카라의 Atay Mühendislik 팀은 구조대에 필요한 핵심 정보를 빠르게 생성하기 위해 사진측량 기술을 활용했습니다. 환경·도시화·기후변화부의 조율 아래 이들은 재해 지역에서 항공 및 지상 매핑을 동시에 수행하며 긴급 대응 인력에게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했습니다.
Atay의 세 개 팀은 각각 지진 피해 지역으로 투입되었습니다. 두 팀은 드론 기반 항공 매핑을 수행해 수색·구조팀을 지원했고, 세 번째 팀은 PIX4Dcatch와 RTK 디바이스를 활용한 지상 매핑으로 피해 범위를 정밀 평가했습니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고정밀 지상 스캐닝
PIX4Dcatch는 센티미터급 절대 정확도를 갖춘 3D 모델을 생성할 수 있는 지상 스캐닝 솔루션입니다. LiDAR 센서가 탑재된 아이폰에 RTK 디바이스를 장착한 PIX4Dcatch 앱을 활용한다면 스마트폰만으로도 RTK 수준의 지오리퍼런싱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PIX4Dmatic 또는 PIX4Dcloud에서 3D 모델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워크플로우는 드론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을 빠르고 정확하게 스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효과적입니다.
피해 규모 평가
현장에 투입된 팀들은 여진이 계속되고 대부분의 호텔이 붕괴된 상황에서 차량에 대기하며 이동식 발전기로 전력을 공급받아 작업을 이어갔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PIX4Dcatch의 간편한 사용성과 PIX4Dmatic의 빠른 처리 속도는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도로 파괴가 심각해 이동 자체가 어려웠음에도 불구하고 팀은 PIX4Dcatch를 활용해 총 140장의 이미지를 성공적으로 수집했으며 해당 데이터는 PIX4Dmatic을 통해 단 10분 만에 처리되었습니다.
팀은 TUSAGA Active GNSS 네트워크로부터 RTK 보정 데이터를 받아 스캔을 수행했으며, 이를 통해 절대 정확도 5cm 미만, 내부 정밀도 1mm 미만 수준의 LiDAR 데이터를 확보했습니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PIX4Dcatch에서 포인트 클라우드로 생성되었고 이후 PIX4Dmatic에서 처리된 결과는 붕괴 건물의 잔해 범위와 도로 상태를 파악하는 데 활용되었습니다.
프로젝트 세부사항
Heading #1 | |
|---|---|
위치 | 앙카라, 터키 |
사용자 | Atay Engineering |
사용 소프트웨어 | |
사용 하드웨어 | RTK 디바이스, ipad Pro |
처리 장비 사양 | RAM, 64-bit operating system, x64-based processor |
촬영 면적 | 약 2,500 m2² |
처리 시간 | 10분 이하 |
총 이미지 수 | 140장 미만 |
지상해상도 | 0.6 cm/px |
지상 매핑으로 빠르고 효율적인 재난 대응
지진 이후 건물의 상태와 피해 정도는 지상 매핑을 통해 신속하게 평가되었습니다. 프로젝트 전체 과정은 시작부터 완료까지 약 25분 만에 처리되었습니다. 팀은 Pix4D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고 사용이 매우 간편하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으며 빠른 속도와 높은 효율성, 그리고 우수한 결과 품질을 이유로 Pix4D를 선택했습니다.
Atay 팀의 목표는 재난 직후 현장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번 작업은 매우 감정적으로도 힘든 과정이었습니다. 그러나 사진측량 기술을 활용한 덕분에 피해 평가에 필요한 핵심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PIX4Dcatch는 이처럼 극도로 스트레스가 크고 어려운 재난 상황에서도 사진측량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필요한 정보를 얼마나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습니다.
“Pix4D의 소프트웨어는 이해하기 쉽고,
결과 품질이 매우 뛰어납니다.”
– Atay Mühendisl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