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X4D와 인터뷰에서 한 측량사가 자신의 측량 작업 과정을 공유했습니다. 그는 PIX4Dcatch를 사용한 3D 스캐닝으로 작업 시간을 절반으로 줄였습니다.
PIX4Dcatch를 이용한 측량 작업 과정 응용
1. 소규모 부지 측량(300㎡ 미만)
그들은 넓은 지역에는 드론을 사용하고, 작은 부지는 PIX4Dcatch로 측량합니다. 상세한 데이터가 필요한 광범위한 부지도, 회사는 PIX4Dmatic을 사용하여 드론 측량 데이터와 PIX4Dcatch의 스캔 데이터를 병합합니다.
2. GNSS 단일점 관측을 이용한 기준점 설정
또한, PIX4Dcatch에 RTK 장치를 부착하면 지리 참조된 데이터셋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접근 방식은 빠르고 간단한 솔루션을 제공하여 현장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합니다.
3. 현장 검증 및 효율적인 상담 자료
이 3D 데이터는 정부 기관과의 협의에 직접 활용되어 시간 소모적인 제도 작업을 대체합니다. 또한, 클라우드 링크를 통해 고객과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프로젝트에 대한 시각적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합니다.
디지털 측량과 전통적인 측량의 비교
전통적인 토탈스테이션을 사용한 점별 측정 방식은 각 지점을 수동으로 측정하고 스케치 지도에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이 방법은 불명확한 기록이나 데이터 누락의 위험이 있어 정확성과 완전성에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PIX4Dcatch를 사용하면 전체 현장을 종합적으로 스캔할 수 있어, 현장의 상세한 디지털 표현을 생성하고 데이터 누락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 앱은 사용자가 관심 영역을 걸어 다니며 스캔하면 자동으로 위치 및 방향 정보가 포함된 동영상 프레임을 녹화합니다.
효율성 측면에서도 큰 차이가 있습니다.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하루에 400-500개의 지점을 측정할 수 있지만, PIX4Dcatch는 즉시 1,000-2,000만 개의 지점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측정 속도와 데이터 양에서 약 2만~5만 배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작업 시간을 50%로 줄인 PIX4Dcatch
PIX4Dcatch의 이점
핵심 요약
- LiDAR와 사진 측량의 결합: 고밀도의 생생한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하여 매핑 작업을 단순화합니다.
- GNSS 단일점 관측: 쉬운 고정밀 기준점 측량을 하게 합니다.
- 상세 데이터 획득: 컬러 3D 디지털 데이터를 캡처하며, 즉시 1,000-2,000만 개의 포인트를 획득하여 세부 정보를 놓치지 않습니다.
- 효율성 향상: 전통적인 방법에 비해 작업 시간을 약 50% 단축하며, 단독 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 즉각적인 데이터 활용: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업로드하여 설명 자료로 즉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사용 용이성: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통해 작동하여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